해상도는 그림 파일의 정밀도를 나타냅니다.
File->New 를 하시면 옆그림과 같은상자가 나옵니다. 빨간박스안에 있는 부분이 바로 해상도를 설정하는 부분이죠.
여기선 72란 가로,세로 1인치의 공간에 가로 72픽셀, 세로 72픽셀씩 모두5,184개의 픽셀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00일 경우 1인치의 공간에 들어가는 픽셀 수는 90,000개입니다.
1인치라는 정해진 공간에 많은 수의 픽셀이 들어간다면 그만큼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인쇄를 목적일 경우 해상도를 300pixel/inch 정도의 해상도를 써야하지만, 보통 웹에서의 이미지 작업은 72pixel/inch를 가장 많이 씁니다.
모니터상에서는 해상도가 72나 300 이나 별 차이를 느낄 수 없기때문입니다.
이미지 해상도와 메모리의 관계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철망을 한번 만들어봅시다. 각각 1인치의 공간에 72pixel/inch와 300pixel/inch 의 철망을 만든 다고 생각해 보세요.
72pixel/inch의 철망은 비교적 가볍고 빨리 만들 수 있는 반면 300Dpixel/inch의 철망은 촘촘하고 멋있기는 하지만 만드는데 시간도 오래 걸리고 무겁기까지 합니다.
이것이 바로 해상도와 메모리의 관계입니다.같은 크기라도 이미지의 해상도의 따라 용량 또한 증가합니다.
또한 포토샵에서도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 파일을 작업하면 속도가 많이 느려지므로 높은 해상도라면 해상도를 72로 낮춘 후에 작업하는 것이 훨씬 능률적입니다.
옆에 그림을 한번 볼까요? 해상도가 300pixel/inch 인 이미지를 오직 해상도만 72로 줄였습니다.
이미지 크기가 확 줄어 들었죠?
이미지 크기를 조절하지 않았는데도 말입니다. 그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대로 해상도가 낮아지면서 1인치안에 들어가는 픽셀수가 확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을 프린트로 뽑으면 크기는 해상도가 300 이나 72나 똑같은 크기로 출력됩니다.
단지 모니터상으로만 크기가 줄어든 것이죠. 대신 출력을 할 경우는 해상도가 300 인 것과 72인것은 말그대로 해상도의 차이가 확연합니다.
300인것은 아주 선명한 반면 72인 것은 그에 비해 질이 많이 떨어지지요.
* PPI 와 DPI 의 차이점 *
해상도에는 PPI(pixel per inch) 와 DPI(dot per inch)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모니터상으로 보는 해상도는 PPI 이고 출력물에 대한 해상도는 DPI 로 나타냅니다.
PPI 는 1인치안에 몇개의 픽셀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나타내며 DPI 는 1인치안에 몇개의 점으로 이루어져있는지 나타냅니다.
우리가 프린터로 모니터의 결과물을 출력하면 아주 미세한 작은 점들이 모여서 결과물을 만들어 인쇄되는 것이고 단지 모니터상으로 볼때는 픽셀들이 모여서 이미지를 나타내는 차이와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