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출처 : 금강기획사보 6월호
새로운천년의시작을목전에둔 1999년은한국인터넷의도약을상징하는해가되어가고있다. 국내경기의회복세, 인터넷업체들의코스닥상장, 아마존, 라이코스등의국내진출및국내기업과해외기업간의제휴, 하나로통신, 게임방등을통한정보통신기반의성장, 사용자의비약적인증가…무엇보다도‘밀레니엄’이라는단어가가지는마력과그에따른기대심리는인터넷분야의폭발적성장이당분간지속되거나더욱가속화될것이라는것을짐작케해준다. 이러한인터넷의성장속에서웹기반의저작물, 단순히말해서홈페이지의제작도비약적으로증가하고있고제작의목적과방법은다양화되었다.
쏟아져나오는홈페이지들속에서살아있는홈페이지 - 네티즌들이지속적으로방문하는홈페이지들의특징은무엇일까? 적절한기획, 풍부하고가치있는내용, 효과적인광고등여러요소가있겠으나, 웹디자인특히인터페이스적관점에서살아있는홈페이지의트랜드에대하여알아보도록하겠다.
우선웹디자인트랜드를얘기하기전에기본적인웹제작의 Basic을확인해보고그러한바탕위에현실에서적용되는모습들을사례를통해살펴봄으로써향후추세를확인해보는것이좋을듯하다.
웹에서의인터페이스디자인
왜홈페이지는디자인되는가?
가장근본적인디자인의목적은 ‘기능극대화와미적인만족감’에있다. 미적인만족감역시기능극대화의일부라고볼수있으므로, 디자인의최대목적은기능적효율성의극대화일것이다. 따라서, 기능성과효율성을무시하고협의의디자인, 즉시각적인면에만치중한디자인은좋은디자인이라고볼수없다.
웹디자인에있어서, 기능성과효율성을좌우하는요소는인터페이스의설계이다.
인터페이스는일반적으로서로다른개체들이상호의사를전달하는수단이란의미로사용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User-Interface)’에서출발한인터페이스는그래픽과접목되면서 GUI(Graphic User-Interface)라는개념을만들어내었으며, CD-Rom title, Web, Software Programing 등을지배하는개념이되었다. 웹에서의인터페이스가기타의인터페이스와다른점은웹이외의인터페이스는인간과컴퓨터와의관계, 즉 HCI(Human-Computer Interface)를다루고있지만웹에서의인터페이스는인간과컴퓨터는물론, 인간과인간의문제를다루고있다는것이다. 또한만족스럽지못한전송속도와그에파생되는여러가지문제점을해결하는것이요구된다.
따라서웹인터페이스의설계자는인지공학, 인간공학, 컴퓨터사이언스, 심리학, 사용자인터페이스공학, 커뮤니케이션학, 문화인류학등다양한분야에서일정수준이상의안목을갖추어야만한다. 이러한연관학문에폭넓은연구가필요할뿐만아니라통신회선, 브라우저, 플러그인보급, 사용시간대등제작된결과물이이용자에게도달되는과정에대한가장최근의통계자료에도통달해야한다. 간단히줄이면, 인간과그에게도달되는과정에대한완벽한이해가선행되어야한다는것이다.
인터페이스를설계할때디자이너는무엇을고려하는가?
‘직관성’은인터페이스의핵심이다
디자이너는자신이디자인하는홈페이지를개성있게꾸며야
잡다한몽상백서 운영자입니다.●?Who's 똑띠